300x250
초등학생부터 어른까지
알고 있으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속담.
배움과 노력에 관한 속담
- 고생 끝에 낙이 온다. : 어려운 일을 겪고 나면 그 뒤에 좋은 일이 있고 노력하는 만큼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뜻.
- 한술 밥에(첫술에) 배부르랴. : 한입먹고 배부리지 않는 것처럼 무엇이든 차근차근 꾸준히 해야 한다.
- 공든 탑이 무너지랴.: 어떤 일에 정성을 다해 최선을 다하면 결과는 노력을 배신하지 않는다.
-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 부지런히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은 계속 발전하게 되므로 열심히 노력하라는 뜻.
-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 : 현재에 만족하지 말고 노력해서 계속 앞으로 나아가고 자신을 계속 단련해야 한다는 뜻.
- 무쇠도 갈면 바늘 된다. : 노력을 멈추지 않으면 어떤 일도 해낼 수 있다는 뜻.
- 우물을 파도 한 우물을 파라.: 이것저것 하면 한 가지 일도 제대로 해낼 수 없다는 뜻으로 한 가지를 꾸준히 하라는 뜻.
- 지성이면 감천.: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도와주는 것처럼 정성을 다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처음 한두 번은 성과를 내지 못할지라도 꾸준히 하다 보면 그 결과를 맺게 된다는 것.
- 콩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 모든 결과는 그 원인에 따른다는 것으로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온다.
- 티끌 모아 태산. : 먼지가 쌓여 큰 산이 되듯이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계속 모으면 큰 것이 될 수 있다는 뜻.
-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
- 입에 들어가는 밥술도 제가 떠 넣어야 한다. : 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자신이 해야 할 부분이 있다는 뜻. (자신스스로 해야 한다.)
- 산에 가야 꿩을 잡고 , 바다에 가야 고기를 잡는다. :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방향을 제대로 잡고 해야 이룰 수 있다.
- 하늘을 봐야 별을 딸 수 있다. : 어떤 일에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노력과 준비를 해야 한다.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아무리 재료가 좋아도 그 재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듯이 자신의 능력과 재능도 꾸준히 노력하고 갈고 닦아야 결과를 낼 수 있다는 뜻.
행동과 욕심에 관한 속담
-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 한번 몸에 밴 것은 쉽게 고치기 어려우니 처음부터 좋은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한다.
- 바늘 도둑이 소 도둑이 된다. : 작은 것이라도 나쁜 짓을 계속하면 무뎌져 큰 잘못을 저지를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 : 못된 사람이 자신의 행동이 못된 줄도 모르고 계속 그 행동을 할 때
-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 : 자기 것이 아닌 것은 처음부터 욕심내지 말라는 뜻.
- 바다는 메워도 사람의 욕심은 못 채운다. :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다.
- 아홉 가진 놈이 하나 가진 놈 부러워한다. : 많이 가지고 있어도 그 욕심은 끝이 없다는 뜻.
- 범을 보니 무섭고 범 가죽을 보니 탐난다. : 힘든 일은 하기 싫고 좋은 결과만을 바랄 때.
-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 :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기 못하게 망가뜨리는 심보.
가족(간의 사랑)에 관한 속담
- 피는 물보다 진하다. : 가족끼리 정이 깊다.
-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예쁘다. : 남들 눈에는 그렇지 않아도 부모 눈에 자식은 항상 제일 예쁘다는 뜻.
-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 : 부모는 자식이 많아도 전부 소중히 여긴다는 뜻.
- 자식을 길러봐야 부모 사랑을 안다. : 내가 부모가 되어보지 않고서는 부모의 깊고 큰 사랑을 알 수 없다는 뜻.
- 아버지는 아들이 잘났다고 하면 기뻐하고, 형은 아우가 더 낫다고 하면 화를 낸다. : 형제간의 우애가 아무리 좋아도 부모의 사랑과는 비료 할 수 없다는 뜻.
- 부모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 : 부모님의 말을 잘 듣고 따를 면 이로운 것이 더 많다는 뜻.
- 부모는 자식이 핳ㄴ자만하면 두자로 보이고, 두자만 하면 석자로 보인다. : 부모 눈에 자식이 하는 것은 더 크고 좋게 보인다는 뜻.
- 형만 한 아우 없다. (아비만 한 자식 없다. ): 아우가 아무리 뛰어나도 형만큼 할 수 없다, 형의 동생을 생각하는 마음이 더 크다.
- 동생의 말을 들어야 형의 말도 듣는다. : 아무리 형제간이라도 서로서로 은혜를 베풀고 갚아야 한다.
- 효성이 지극하면 돌 위에도 풀이 난다. : 효성이 깊으면 하늘도 감동하여 기적이 일어난다.
- 부모가 착해야 효자가 난다. : 윗사람이 잘해야 아랫사람이 잘한다.
- 부모는 열 자식 거느려도 자식은 한부모 못 모신다. : 자식이 아무리 해도 부모의 사랑만큼은 할 수 없다는 뜻.
- 아이 보는 데서는 찬물도 못 마신다. : 아이들이 볼 때는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
인간관계에 관한 속담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가까운 사람이 잘되면 축하하기보다는 오히려 샘을 내는 못된 마음.
- 누이 좋고 매부 좋다. : 어떤 일이든 모두에게 좋다는 뜻.
- 찬물도 위아래가 있다. : 무슨 일이든 순서가 있으니 차례를 따라야 한다.
- 이웃이 사촌보다 낫다. : 멀리 사는 친척(가족)보다 가까이 있는 남(이웃)이 오히려 더 낫다.
-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 관계가 좋지 않은 사람을 피치 못할 상황에서 만나게 되는 것.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작은 일도 도와서 하면 더 잘할 수 있고 좋다는 뜻.
- 아이 싸움이 어른 싸움이 된다. : 사소한 일이 점차 커져 큰일이 된다는 뜻.
- 불난 집에 부채질한다. : 상대방이 어려움을 겪을 때(좋지 않은 상황에) 도움을 주기보다 오히려 더 안 좋게 만드는 것.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를 나무란다. : 자기도 결점이 있으면서 상대방의 결점을 더 크게 보고 흉보는 사람(상황).
- 똥이 무서워서 피하나 더러워서 피하지. : 나쁜 사람을 상대하지 않고 피하는 것은 무서워서가 아니라 상대할 가치 없기 때문이라는 뜻.
- 사람 나고 돈 났지, 돈 나고 사람 났나.: 돈(물질적인 가치)을 최고로 여기는 사람(상황)을 나무랄 때 하는 말.
-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평등하다.
-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 대단한 재주가 있어도 그보다 더 뛰어난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뜻. (잘난 체 하지 말 것)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 이래라저래라 참견하는 사람이 많고 의견이 많으면 일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뜻.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철없이 아무것도 모르고 상대가 되지 않는 사람에게 함부로 덤비는 경우.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하기는 해야 하지만 성공하기 어려운 일을 두고 하는 말.
- 방귀 뀐 사람이 성낸다. : 잘못은 자기가 해놓고, 오히려 상대에게 화를 내는 경우.
- 누워서 침 뱉기 :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한 잘못된 행동이) 결국은 자신에게 돌아올 때.
- 도둑이 제 발 저리다. : 잘못을 하고 나서 들킬까 봐 겁나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잘못을 드러내고야 만다.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 믿었던 사람이 배신할 때.
- 병 주고 약 준다. : 피해를 줘놓고 도와주는 척할 때, 교활하고 음흉한 사람의 행동을 이르는 말.
-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 미워하는 사람일수록 더 잘해주면서 나쁜 마음을 버려야 한다.
- 맞은 놈은 펴고 자고 때린 놈은 오그리고 잔다.: 남을 괴롭힌 사람은 뒷일이 걱정되어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마음만은 편하다는 뜻
2023.02.06 - [소소하지만 생생한 일상/아는 것의 발견] - [교육] 속담, 어휘력 향상 속담1.
2021.11.12 - [지극히 개인적인/책,드라마,영화] - [도서]EBS 당신의 문해력, 공부의 기초체력을 키워주는 힘.
2021.11.12 - [지극히 개인적인/책,드라마,영화] - [도서] 당신의 문해력, 소리내어 읽어주기 그림책 14권.
728x90
'소소하지만 생생한 일상 > 교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아동 돌봄지원정책 - 2. 다함께돌봄센터 (0) | 2023.03.07 |
---|---|
[정보] 아동 돌봄지원 정책 - 1. 지역아동센터 알아보기 (0) | 2023.03.07 |
[교육] 속담, 어휘력 향상 속담1. (0) | 2023.02.06 |
[정보] 초등 "늘봄학교" 운영 (0) | 2023.01.30 |
[정보] 초등학교 입학 배정, 초등학교 입학 준비 (1) | 2022.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