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극히 개인적인/책,드라마,영화

2021 부산국제영화제 ,26th BIFF,26회 부산국제영화제

by dororo_ 2021. 10. 7.
300x250

코로나 팬데믹이 완전히 종식되지 않은 지금이지만

2021년 부산 국제 영화제가 2021년 10월6일 부터 10월 15일까지의 일정을 시작했다. 

부산으로 이사 온지 2년.

이사오기 전에도 부산이랑 멀지는 않았지만 정작 한번도 가보지는 못했던 부산국제영화제.

 

한국 영화의 발상지인 부산을, 영상문화의 중앙 집중에서 벗어나 지방 자치시대에 걸맞은 문화예술의 고장으로 발전시키고자 기획된 영화제로 1996년 제1회를 시작하여  2021년 현재 26회까지 진행되고 있는 부산국제영화제.

 

2021 부산국제영화제 : BIFF(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개최기간 : 2021년 10월 6일(수) ~ 15일(금)

상영작

  • 공식 선정작 70개국 223편
  • 커뮤니티비프 상영작 63편 ('동네방네비프’를 신설하여 14개 구·군 마을 공동체에서 영화를 상영할 예정)

 

개막작 : 임상수 감독 "행복의 나라로Heaven: To the Land of Happiness

 

폐막작 : 령록만 감독 "매염방: Anita"

* 더 많은 상영 작품은 부산국제영화제 홈페이지 작품 검색으로

 

주요행사

  • 오픈토크
  • 스페셜토크
  • 야외무대인사
  • 액터스 하우스 (2021년 신설)
  • 마스터클래스
  • 핸드프린팅

 

개최형식

  • 영화제 선정작 100% 극장 상영 진행 (21년 오프라인 티켓판매는 진행하지 않고 온라인 구매도 현재 종료된 상태, 상영관은 6개 극장 29개 스크린 : 영화의전당, CGV 센텀시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롯데시네마 대영, 소향씨어터, BNK부산은행 아트시네마(커뮤니티비프)
  • 1편당 2~3회 극장 상영 : 전체 좌석수의 50%만을 운영하여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진행. 
  •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 한국·대만·일본의 원작 45편과 한국·아시아의 장편영화 프로젝트 25편이 소개될 예정
  •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애니메이션, 숏폼, 웹드라마까지 후보작 대상을 확대해 14개 부문의 수상작을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발표할 예정
  • 아시아필름어워즈 온·오프라인 생중계 :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진행되며, 18개 부문에 걸쳐 아시아영화 산업에 이바지한 영화와 영화인에게 시상할 예정

 

새로운 시도

  • 온 스크린 : 새롭게 신설된 섹션으로 OTT 드라마 시리즈 화제작을 상영(한국 "마이네임" "지옥" ,타이 "포비든)
  • 액터스 하우스 : 동시대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배우들을 초청, 그들의 연기에 관한 친밀하면서도 심도 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스페셜 프로그램 올해는 배우 엄정화, 한예리, 전종서, 조진웅, 이제훈, 변요한 총 6인의 배우가 참여행사는 누구나 관객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참가비는 8,000원. 행사 수익금 전액은 국제 아동 구호 기구 '세이브 더 칠드런'에 기부될 계획.

 

아시아영화를 다룬 두 개의 특별전 

  • 원더 우먼스 무비 : 여성감독이 만든 최고의 아시아영화를 선정한 특별전
제   목 감   독 연  도 국  가
가버나움 나딘 라바키 2018 Lebanon
고양이를 부탁해(4K복원작) 정재은 2001 korea
낮은목소리-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것 변영주 1995 korea
내자 여자가 된날 마르지예 메쉬키니 2000 Iran
살람붐베이! 미라 네어 1988 India
살인자말리나의 4막극 몰리 수리아 2017 Indonesia/France/Malaysia/Thailand
 
수자쿠 가와세 나오미 1997 Japan
심플라이프 허안화 2011 Hong kong
와즈다 하이파 알 만수르 2012 Saudi Arabia/Germany
 
칠판 사미라 마흐말바프 2000 Iran
  • 중국영화, 새로운 목소리 : 중국 감독들의 영화를 소개하는 특별전 
제  목 감  독 연  도
그녀 방의 구름 정루신위안 ZHENG LU Xinyuan 2020
미래로 걸어가다  리뤼준 LI Ruijun 2017
백일염화 디아오이난 DIAO Yinan 2014
융안 마을 이야기 웨이슈준 WEI Shujun 2021
카일리블루스 비간 BI Gan 2015
평정 송팡 SONG Fang 2020
푸춘산의 삶 구샤오강 GU Xiaogang 2019

 

어워드 awards

    1. 뉴커런츠상 : 아시아의 재능 있는 신인 감독 발굴 및 격려의 의미로 아시아 영화 경쟁부문인 뉴 커런츠 부문에 상영된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장편영화 중에서 두 편을 선정하여 각각 3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
    2. 지석상 : 아시아 영화의 성장과 새로운 신인 감독의 발굴과 지원에 헌신해온 故 김지석 수석 프로그래머의 정신과 뜻을 기억하기 위한 상으로 두 편을 선정하여 부산국제영화제 후원회에서 각각 1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
    3. 비프메세나상 :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다큐멘터리 중 각각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
    4. 선재상 :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단편 중 최우수 작품을 각각 선정하여, 각 1천만 원의 상금
    5. 올해의 배우상 : 뉴 커런츠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 한국 장편독립영화의 새로운 배우들을 주목하기 위한 상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남, 여 배우 각 1인이 심사위원으로 나서며, 최고의 남, 여 배우 1명씩 선정해 폐막식에서 각각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부산국제영화제 후원회에서 후원.
    6. KB뉴커런츠상 : 뉴 커런츠에 선정된 영화를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2천만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KB국민은행에서 후원.
    7. 플래시포워드 관객상 : 플래시 포워드에 선정된 영화를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상금 1천만원은 감독에게 수여. 부산국제영화제 후원회에서 후원.
    8.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 뉴 커런츠 부문 작품 가운데 뛰어난 작품성과 진취적인 예술적 재능을 선보인 작품에 수여.
    9.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 뉴 커런츠 섹션에 상영되는 영화 중, 넷팩 심사위원들이 선정한 최고의 영화에 수여되는 상. 1990년에 국제기구로 설립된 아시아영화진흥기구는 아시아영화의 배급과 상영 확대를 그 목적
    10. 한국영화감독조합 메가박스상: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2편의 영화를 선정, 각각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한국영화감독조합과 메가박스에서 후원
    11. CGV아트하우스상 :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영화의 새로운 비전을 보여준 작품에 수여되는 상으로, 선정된 1편에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CJ CGV 아트하우스에서 후원
    12. KBS 독립영화상 : 한국 독립영화의 지원을 목적으로 한국영화의 오늘_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의 한국 작품을 대상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1편에게는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KBS가 후원
    13. CGK 촬영상 : 한국영화의 오늘_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에서 촬영이 돋보이는 한국 작품 1편을 선정하며, 선정된 작품의 촬영감독에게 5백만 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한국촬영감독조합에서 후원
    14. 크리틱b상: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과 뉴 커런츠 부문 한국 작품을 대상으로 부산영화평론가협회에서 구성한 심사위원단이 선정하며, 선정된 1편에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한국필립모리스에서 후원
    15. 왓챠상 : 한국 영화계 신인 감독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상으로, 뉴 커런츠 부문 한국 작품과 한국영화의 오늘_비전 부문 작품을 대상으로 2편의 영화를 선정하여 각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왓챠에서 후원
    16. 시민평론가상 : 영화의전당 비평교실이 배출한 시민평론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 상금은 한국필립모리스에서 후원
    17. 부산시네필상 : 대학생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와이드 앵글 다큐멘터리 쇼케이스에 소개된 한국 및 아시아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심사한 후 최우수 작품에 시상하는 상으로 5백만 원의 상금이 수여. 부산 지역 영화 관련학과 대학생들이 심사위원단으로 참여한다. 상금은 유튜브에서 후원

온라인 상영작 : (네이버 시리즈 온, 유튜브 )

  • 총 22편 (한국 단편 12편, 아시아 단편 10편)
  • 상영기간 : 10월10일(일)~10월 17일 (일)
  • 관람 : 48시간 이내 관람
  • 가격 : 작품당 1,500원
  • 구입방법 : 네이버 시리즈온, 유튜브 회원가입 및 로그인 후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APP
  • 관람 : 대한민국 내에서만 관람 가능
  • 취소/ 환불 : 구매 후 7일 이내, 시청 내역이 없다면 구매 취소 가능
    (단, 구매 후 7일이 경과하였거나, 시청 이력이 있는 경우 구매 취소 불가능)

이 외에도

  • 태국과 싱가포르에서 동시 GV를 진행
  • 한국영화 GV는 100% 현장 진행
  • 해외영화 GV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 故 이춘연 대표(씨네2000)를 기리기 위하여 이춘연영화상을 제정 '이춘연 추모식’ 행사를 통하여 세부 계획을 발표(2022년)부터 매년 수상자를 선정할 계획
  • 아시아영화펀드(Asian Cinema Fund, ACF), 아시아영화아카데미(Asian Film Academy, AFA), 플랫폼부산 등의 행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잠정 중단

등이 있다. 

 

간략하게 정리 해 본 2021 부산국제영화제.새롭게 신설된 것들도 보이고, 수상부분이 저렇게나 많은줄도 몰랐네. 역시나 상금을 후원하는곳에 따른 명칭들.

 

극장상영이 진행되고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것들도 있기는 하지만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것들도 많이 보인다.

26회 부산 국제 영화제 온라인 생중계 일정은 아래와 같다.

 

언제가는 가서 그 열기를 느껴봐야지 했는데, 정작 부산에 살게된 작년부터는 코로나로 인해 또 못가보는구나.

내년엔 코로나 종식되고 꼭 가서 그 열기를 한번 느껴볼수 있기를  부산국제영화제!

 

 

 

728x90

댓글